분류 전체보기39 '21년 월간 국내외 경제 및 산업 동향(3월호) □ 주요국 경제 동향: 코로나19 재확산, 기후 영향 등으로 다소 주춤한 경기 회복양상 □ 국내경제 동향 ㅇ (산업생산) 기저효과 및 코로나19 3차 확산 등으로 8개월 만에 하락 전환 ㅇ (수출) 조업일수 부족에도 불구, 바이오헬스/자동차 수출 호조로 4개월 연속 증가 □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 ㅇ (금리) 경제회복 기대감 및 대규모 재정정책 추진 등으로 장기금리 상승 ㅇ (환율) 미 달러화, 국채금리 상승 등으로 강세 □ 국제유가 및 천연가스 가격: 3월 중순 이후 미 원유재고 증가세 지속으로 유가 하락, 천연가스도 온화한 날씨 예보로 가격 하락세 □ 조선: 2월 수주는 세계 시황 개선으로, 양과 질적 측면에서 매우 양호한 상황 □ 해외건설: 2월 해외건설 수주액, 전년 대비 58.1.. 2021. 4. 21. 직무급제 논란 어디로 직무급제는 일한 기간을 따지는 연공성과 일의 성과를 평가하는 성과급보다 하는 일의 어려움과 역할을 따져 임금을 책정하는 방식이다. 고령인구 증가와 출산률 하락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IT기술의 빠른 진보로 숙련기술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기 어려워지는 노동시장 변화와 노동시장 양극화를 심화했다는 연공급제 비판이 겹치면서 임금체계 대안으로 떠올랐다. 노정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직무급제 도입을 놓고 사회적 대화를 시작한다. 가 직무급제를 둘러싼 논란과 도입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짚어봤다. 임금체계 사이에 우열은 없다. 박우성 경희대 교수(경영학)는 “어느 임금체계가 우월하다고 할 수 없고, 정서와 문화에 따라 적합한 임금체계를 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에 연공급제가 주류로 자리 잡는 데 혁혁한 공을 .. 2021. 4. 13. 오리지널스-어떻게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세상을 움직이는가 HRD관련 세미나를 듣는 중, 강의자께서 아래 책에서 나온 예시 및 내용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셨다. 세미나가 끝난 후 검색해서 책을 샀다.. 저자는 구태의연한 전통을 거부하는 독창적인 사람들을 "오리지널스"로 표현하였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서문_ 1장 창조적 파괴: 순리를 거스르는 위험한 일 현상(現狀)에 의문을 품기 | 성공의 두 얼굴 | 적합한 자질 | 위험은 주식포트폴리오처럼 관리하라 2장 눈먼 열정에서 벗어나기: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알아보는 비결 창의성이라는 외줄 타기 | 왕자를 찾을 때까지 개구리에게 입맞춤하기 | 현상의 포로와 편협한 선호도 | 경험은 양날의 칼 | 직관의 폐해 : 스티브 잡스의 오판 | 열정이라는 함정 | 아이디어 선별에 필요한 시력 교정 렌즈 3장 위험을 무릅쓰다: 진언.. 2021. 4. 7. 직장인 62% “코로나19 이후 회사에 실망” 잡코리아가 직장인들에게 코로나19 이후 회사에 대한 직장인들의 평가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확인한 결과 5명 중 3명이 “회사에 실망하게 됐다”고 답했다. 회사에 대한 실망감은 중소기업에서 특히 크게 늘었다. 재직 중인 회사의 기업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의 39.0%가 ‘이전보다 더 실망하게 됐다’고 답했으며 ‘이전과 달리 실망하게 됐다’는 응답이 30.7%로 이어졌다. 반면 대기업 직장인은 ‘이전과 달리 회사를 좋아하게 됐다’는 응답이 33.1%로 ‘이전보다 더 실망했다(30.2%)’를 소폭 앞섰다. 공기업 직장인은 ‘이전과 달리 회사를 좋아하게 됐다’는 응답이 44.0%로 다른 응답군에 비해 크게 높았다. 여기에 ‘이전보다 회사를 더 좋아하게 됐다’는 응답 역시 18.7%를 .. 2021. 4. 6.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